728x90
반응형
CS 공부 DAY5.
오픈소스를 정리해보자
오픈소스란 어떤 제품을 개발하는 과정에 필요한 소스 코드나 설계도를 누구나 접근해서 열람할 수 있도록 공개하는 것이다. 기업에서 공개하는 것으로 무료인 것도 있지만 유료인 것도 있다! 구글링을 하며 코드가 괜찮은 것이 있다면 무작정 쓰지 말고 라이선스부터 확인해야 한다. (안 하면 벌금 ㄷㄷ)
◆ 소스가 공개되는 이유
-. 이미 있는 오픈 소스를 포크(소스코드를 복사하는 것) 새 프로젝트가 만들어지는 경우, 라이선스 때문에 공개
-. 외부 개발자들이 참여하도록 하면 더 다양한 환경에서 소프트웨어를 시험해보고 품질을 높일 수 있다
-. 사회 공헌의 측면
-. 프로그램의 신뢰성을 보장하는 방법
◆ Apache License
-. Apache 재단에서 만든 라이선스
-. 개인적/상업적 이용, 배포, 수정, 특허신청 가능
◆ MIT License
-. MIT 대학에서 학생들을 위해 개발한 라이선스
-. 개인 소스에 MIT 라이선스를 사용하고 있다는 표시만 하면 사용에 제약이 없다
(보통 소스코드에 표시가 되어 있다! 따로 지우지만 말자...)
◆ BSD License
-. 버클리 대학에서 개발한 라이선스
-. 개인 소스에 버클리 라이선스를 사용하고 있다는 표시만 하면 사용에 제약이 없다
(보통 소스코드에 표시가 되어 있다! 따로 지우지만 말자...)
◆ 앞으로 웹이나 앱을 만들게 된다면 오픈소스코드를 많이 참고할 것 같은데 꼭꼭 라이선스 확인을 하자!!
728x90
반응형
'지식의 협곡 > CS & AI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정보처리기사 - 소프트웨어 설계 (1) (0) | 2021.07.09 |
---|---|
RESTful API (0) | 2021.05.23 |
API (0) | 2021.05.19 |
MVC 패턴 (0) | 2021.05.17 |
Internet / WEB/HTTP/응답 과정 (0) | 2021.05.15 |
댓글